정착 가이드: 국가장애인지원보장제도, NDIS

국가장애인지원보장제도로 거의 15만 명의 장애인이 지원을 받아왔음에도 불구하고 문화적, 언어적으로 다양한 배경의 호주인 중 일부는 NDIS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A woman with a disability working in an office

Smiling disabled woman working in office Source: Getty images/Daniel Tardif

는 호주 정부가 장애인을 지원하는 방식에 큰 변화를 이끌어 냈습니다.

NDIS를 시행하는 독립 법정기구 ‘참여와 포함(Engagement and Inclusion)’의 매트 라이트 지점장은 “이 제도의 목적은 장애인들이 다른 호주 국민과 같이 공동체의 일부로서 평범한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운영 방식

반드시 65세 미만으로 호주 시민권자나 영주권자여야 하며, 영구 장애나 중증 장애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스스로 자격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www.ndis.gov.au를 통해 연락을 취하거나 1800 800 110번으로 전화하시기 바랍니다. 통역사가 필요한 경우 13 14 50번으로 연락하십시오.

먼저 평가를 받게 되며 필요조건이 충족될 경우 재정지원과 개인 맞춤형 계획을 위해 연락을 받게 됩니다. 수혜자는 서비스 공급업자를 선택하거나 필요한 장비와 유형에 대한 일부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문화, 언어적으로 다양한 공동체와 NDIS

에 따르면 문화언어적으로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의 약 20%가 NDIS 수혜 자격이 되지만 단 7.2%만 NDIS 계획을 세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의 드웨인 크랜필드 CEO는 “NDIS를 잘 모르거나 미심쩍어하거나 또는 NDIS 혜택을 받도록 도와주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현재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하는 NDIS 수혜 자격이 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NDIS 혜택을 받기까지 그 절차가 실제 상당히 까다롭고 영어가 제2외국어로 능숙하지 않고 절차를 밟도록 도와줄 누군가의 지원이 없다면 혜택을 받기가 정말 어렵다”라고 지적했습니다.
A man with a disability jogs
(Getty Images/GCShutter) Source: Getty Images/GCShutter
NDIS와 협력하는 다문화 기관과 지역사회 단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매니저 조지아 조갈리스 씨는 장애지원연금을 받는 많은 사람들은 NDIS 혜택을 받게 되면 장애지원연금을 못 받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문화, 언어적으로 다양한 배경의 공동체가 바르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NDIS는 장애인의 필요를 인정해 승인되고 지원금은 NDIS 패키지의 일환으로, 장애지원연금에 부가되는 지원이기 때문에 이미 장애연금을 받는 상태라도 NDIS 수혜 자격이 연금 자격을 박탈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혜택 모두를 받게 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연금은 하루 하루의 삶을 유지하도록 돕는 것이고NDIS 패키지는 장애와 관련해 필요한 부분을 지원해주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NDIS 이해를 위한 도움 받기

NDIS를 이해하는 것이 복잡할 수 있으며, 특히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NDIS는 를 제공합니다. 국가통번역서비스 13 14 50번으로 전화해 모국어를 얘기한 후 NDIS와 연결해 줄 것을 요청하시면 무료로 통역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캐시 나잉 씨는 희귀 유전질환인 프래더-윌리 증후군과 지적장애를 앓고 있는 20살 된 딸, 로라의 간병인입니다. 그녀는 현재 로라의 NDIS 계획에 만족하지만 처음에는 부족한 영어 실력 때문에 쉽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NDIS 계획을 세울 때 그녀는 모든 것이 스스로 납득될 때까지 계속 질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캐시 씨는 “NDIS 혜택을 받기까지 인내를 가지고 두려워하지 말며 스스로를 다스리고 계획을 세우는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모국어로 간단하게 질문을 준비해 계속 질문하고, 본인을 인터뷰하는 사람을 편하게 느끼고 반드시 물어봐야 할 적절한 질문을 하라면서 올바른 질문을 할 권리가 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Living with a disability
(Getty Images/Maskot) Source: Getty Images/Maskot
NDIS가 선보인 이래 문화적, 언어적으로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에게 정보를 알리는 데 많은 개선이 이뤄져 왔습니다.

NDIS의 매트 라이트 씨는 “NDIS 서비스가 문화적으로 신중히 접근하고,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의 필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문화언어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대표하는 단체들과 열심히 협력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들이 쉽게 접하도록 가능한 많은 언어와 다양한 포맷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국가장애인지원보장제도 NDIS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Share
Published 26 July 2018 1:22am
Updated 26 July 2018 1:34am
By Audrey Bourget
Presented by Euna Cho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