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s
- 호주노조협의회(ACTU), 올해 호주 최저 임금 주당 26달러 인상 추진
- 연방 정부, 일자리 창출 이유로 최저 임금 대폭 인상 반대
- 전국농업인연합회, 올해 최저 임금 동결 요청
모리슨 정부가 일자리 창출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호주 최저 임금의 대폭 인상을 반대하고 나섰다.
연방 정부는 공정근로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서 글로벌 경제 전망과 국내 경제 전망이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라는 점을 강조했다.
정부는 보고서에서 “이처럼 어려운 시기에 인건비가 과도하게 인상될 경우 중소기업 회복에 큰 제약이 될 수 있고 업계의 고용도 저해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어서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경제 회복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업 생존 능력을 키우기 위해 “신중한 접근”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는 또한 “계속되는 국내 감염 위험과 주요 경제 활동의 단절은 경제 환경이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라며 “비록 백신 접종이 진행 중이지만 추가 억제 조치가 필요한 코로나19 감염 상황은 여전히 위험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최저임금 주당 26달러 인상을 추진하고 있는 호주노조협의회(ACTU)는 이 같은 정부의 입장에 강하게 반발했다.
스콧 코놀리 호주노조협의회 부사무차장은 “회사 이익이 급증하고 있음에도 연립 정부는 임금이 거꾸로 가기를 원하고 있다”라고 비난했다.
코놀리 부사무차장은 “정부가 노골적으로 말할 배짱이 없으면서 공정근로위원회에 최저 임금을 동결하라는 사인을 보냈다”라며 연방 정부의 위선 때문에 숨이 막힐 지경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경기가 회복되고 있기 때문에 잡키퍼 지원금은 없애도 괜찮다고 말한 정부가 경제가 흔들리고 있기 때문에 임금 인상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라며 “정부가 양쪽 다를 가질 수는 없다”라고 말했다.
호주의 국가 최저 임금은 지난해 1.75% 인상돼 주당 $753.80로 상승했다. 하지만 2017년 3.3%, 2018년 3.5%, 2019년 3%와 비교할 때 상승폭은 크게 하락했다.
이런 가운데 전국농업인연합회(National Farmers' Federation)는 경기 여건이 개선되고 시장 변동성이 줄어들 때까지는 최저 임금이 동결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외식 업계와 케이터링 업계 역시 공정거래위원회에 최저 임금 인상폭을 줄여달라고 요구하고 있으며 전국소매협회(National Retail Association)는 11월 1일까지는 임금 인상폭 적용을 연기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호주 생활의 최신 정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여러분의 손안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지금 SBS Radio 앱을 만나보세요.